글
1. 위치
부심은 주심과 마주한 반대쪽 지주 근처 경기 코트 밖에서 역할을 수행한다.
2. 권한
1) 부심은 주심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지만 자신의 결정권도 있다.
주심이 자신의 역할을 계속 진행할 수 없게 되면 부심은 주심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다.
2) 부심은 휘슬을 불지 않고 자신의 결정권외의 반칙을 표시할 수 있으나 주심에게 이것을 강요할 수는 없다.
3) 부심은 기록원의 역할을 통제한다.
4) 부심은 벤치에 있는 팀원을 관리하고 그들의 불법행위를 주심에게 알려 준다.
5) 부심은 웜-업 에이리어에 있는 선수들을 통제한다.
6) 부심은 경기 중단을 허가하고 그 시간을 통제하며 부당한 요구를 거부한다.
7) 부심은 각 팀이 사용한 타임-아웃 및 선수교대 횟수를 통제하고 2번째 타임-아웃과 5,6번째 선수교대에 대하여 주심과 감독에게 알려준다.
8) 선수가 부상을 당한 경우, 부심은 예외적인 선수 교대를 허용하거나 3분간의 회복시간을 부여한다.
9) 부심은 경기장 바닥상태(주로 프론트 존)을 점검하며, 경기 동안 볼 상태를 점검한다.
10) 부심은 벌칙 에이리어에 있는 팀원을 감독하고 그들의 불법행위에 대해 주심에게 보고한다.
3. 의무
1) 매 세트 시작, 최종 세트에서의 코트 교대, 그리고 필요할 때마다 부심은 코트에 있는 선수와 라인-업 용지에 있는 선수의 위치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2) 경기 동안 부심은 다음의 것에 대해 휘슬을 불고 시그널한다.
① 상대편 코트 침범 및 네트 아래 공간 침범.
② 리시브 팀의 포지션 반칙.
③ 코트의 부심 쪽 안테나와 네트 아래쪽에서 일어나는 선수의 접촉.
④ 후위 선수에 의한 블로킹 완료나 리베로에 의한 블로킹 시도.
⑤ 볼과 외부물체 접촉.
⑥ 주심이 볼 수 없는 바닥에의 볼 접촉.
⑦ 상대 코트로 허용 공간 바깥으로 볼이 완전히 혹은 부분적으로 통과하거나 코트의 부심쪽 안테나로 볼 접촉.
3) 경기 종료 후 부심은 기록지에 서명한다.
'Data > r u l 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해] 1. a 대회장(Competition Area) (0) | 2009.12.15 |
---|---|
[8장. 심판] 28. 공식시그널(OFFICIAL SIGNALS) (0) | 2009.12.15 |
[8장. 심판] 27. 선심(LINE JUDGES) (0) | 2009.12.15 |
[8장. 심판] 26. 보조기록원(ASSISTANT SCORER) (0) | 2009.12.15 |
[8장. 심판] 25. 기록원(SCORER) (0) | 2009.12.15 |
[8장. 심판] 23. 주심(FIRST REFEREE) (0) | 2009.12.15 |
[8장. 심판] 22. 심판원의 구성과 절차 (0) | 2009.12.15 |
[7장. 경기자의 행위] 21. 불법 행위와 제재 (0) | 2009.12.15 |
[7장. 경기장의 행위] 20. 행위의 요구 (0) | 2009.12.15 |
[6장. 리베로 경기자] 19. 리베로 선수 (1) | 2009.12.15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