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r u l e

[1장. 시설과 장비] 1. 경기장

다정다솜 2009. 12. 14. 14:47

경기장이란 경기코트와 프리존을 포함한 것을 말한다. 경기장은 직사각형으로, 둘로 나뉜 양쪽이 대칭을 이뤄야 한다.


1. 규격

- 경기 코트는 모든 면이 최소 3m 폭의 프리존으로 둘러진 18X9m 직사각형이다.

경기 공간은 어떠한 장애로부터 자유로운 경기장 위의 공간을 말하며, 경기장 표면으로부터 최소 7m 높이가 확보되어야 한다. (한 코트 대각선 길이 12m 73cm)

- FIVB 국제 대회와 공식대회에서는 프리죤은 사이드 라인으로부터 최소한 5m, 엔드라인으로 부터 8m가 되어야하며, 경기공간은 코트 면 위에는 최소한 12.5m까지의 공간에 어떠한 장애물도 있어서는 안된다.

2. 경기장의 표면

1) 경기장 표면은 평평하고 수평적이며 동일한 재질이어야 한다.

선수에게 부상 위험이 있어서는 안 되며, 거칠거나 미끄러운 표면에서 경기하는 것은 금지된다.

FIVB 세계대회와 모든 공식경기에 있어서는 목재나 합성표면만이 인정되며, 경기전에 FIVB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2) 실내 코트의 표면은 밝은 색으로 되어야 한다.

FIVB 세계대회 및 공식대회에서는 흰색으로 선을 그어야 하며, 서로 다른 색상으로 경기 코트와 프리존이 구분되어야 한다.

3) 실외 코트에서는 미터당 5mm의 경사가 배수를 위해 허용되며, 딱딱한 재질로 만든 코트의 선은 금지된다


3. 코트의 라인

1) 모든 라인은 5cm 폭으로 그려지며, 바닥과 다른 라인으로부터 구분되는 밝은 색상으로 그어져야 한다.

2) 구획선
- 사이드 라인 2개와 엔드 라인 2개로 경기장 코트를 표시한다.

양 사이드라인과 엔드라인은 경기장 코트의 면적 안에 포함되어야 한다.

3) 센터라인
- 센터라인의 중심선은 각각 9m 크기로 측정되는 2개의 동일한 코트로 경기장 코트를 나눈다.

하지만 선의 전체 너비는 양 코트를 동일하게 포함시키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 선은 사이드라인에서 사이드라인까지 네트 아래를 연장한다.

4) 어택라인
- 센터라인의 중심선에서 3m 뒤로 그려진 각 코트의 어택라인은 프론트존을 표시한다.


- FIVB 세계대회 및 공식대회에서 어택라인은 사이드라인으로부터 너비 5cm, 길이 15cm의 짧은 5개 선이 20cm 간격으로 이뤄진 절취선으로 1.75m까지 연장되어진다.


4. 존과 에리어

1) 프론트 존(Front Zone)
- 각 코트의 프론트존은 센터라인 중심선과 어택라인의 뒷 가장자리까지 한정되며, 사이드라인을 넘어 프리존의 끝까지 연장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2) 서어비스 존(Service Zone)
- 서비스 존은 각 엔드라인 뒤 너비 9m 지역을 말한다.

옆으로는 각각 길이 15cm의 선이 사이드라인 연장선 상 엔드라인 20cm 뒤에 그려진다.

그 길이는 프리존 끝까지 연장된다.

3) 선수 교대 지역(Substitution Zone)
- 선수 교대 지역은 양 어택 라인의 연장선에서 기록석까지로 제한된다.

4) 웜-업 에이리어(Warm-up Area)
- FIVB 세계대회 및 공식대회에서 웜-업 에이리어는 대략 3m의 크기로 프리존 밖 양 벤치 측 구석에 위치한다.

5) 벌칙 에이리어(Penalty Area)
- 벌칙 에이리어는 의자 2개가 비치된 약 1m 크기로, 각 엔드라인 연장선 바깥쪽 통제지역 내에 5cm 너비의 빨간 선으로 표시된다.


5. 기온
- 경기장 기온은 10℃(50℉)이하가 되어서는 안된다.
- FIVB 세계대회 및 공식대회에서 기온은 최대 25℃(77℉)보다 높지 않고, 최소 16℃(61℉)보다 낮지 않아야 한다.


6. 조명
- FIVB 세계대회 및 공식대회에서 경기장의 조명은 경기장 표면 1m 위에서 측정했을때, 1000∼1500룩스가 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