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장. 플레잉 동작] 12. 서비스
서비스는 후위 오른쪽 선수가 서비스 존에서 인 플레이 상태로 볼을 쳐 넣는 행위이다.
1. 세트의 첫번째 서비스
1) 첫 세트뿐 아니라 최종세트(5세트)의 첫 서비스는 토스에 의해 결정된 팀에 의해 실행된다.
2) 다른 세트에서는 앞 세트에서 먼저 서비스를 행하지 않은 팀의 서비스로 시작된다.
2. 서비스의 순서
1) 경기자들은 라인-업 용지에 기재된 서비스 순서에 따라야 한다.
2) 세트의 첫번째 서비스 후 서비스 할 선수는 다음과 같이 결정한다.
① 서비스를 행한 팀이 랠리에서 이기면 앞서 서비스를 했던 그 선수(또는 교대선수)가 다시 서브한다.
② 서브를 리시브한 팀이 랠리에서 이기면 리시브 팀은 서브권을 얻게 되고 실제로 서브하기 전에 자리를 바꾸게 된다.
전위 라이트 위치에서 후위 라이트로 옮긴 선수가 서브한다.
3. 서비스의 허가
주심은 양 팀이 모두 플레이 할 준비가 됐는지 확인하고 서버가 볼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한 뒤 서비스를 허가한다.
4. 서비스의 실행
1) 볼을 손에서 놓거나 던져진 뒤에 한 손이나 팔의 어느 부분으로도 치면 된다.
2) 한 번의 토스만이 허용된다. 손에서 볼을 드리블 하거나 움직이는 것은 허용된다.
3) 서비스를 타구하는 순간 혹은 점프 서비스를 하기 위해 도움닫기 하는 순간 서버는 코트(엔드라인 포함)나 서비스 존 밑의 바닥에 접촉해서는 안된다.
서비스를 한 후 코트 내 또는 서비스 존 외측에 닿거나 착지해도 좋다.
4) 서버는 주심이 서비스 허가 휘슬 후 8초 이내에 볼을 쳐야 한다.
5) 주심의 휘슬 전에 행한 서비스는 취소되고 다시 한다.
5. 스크린(SCREENING)
1) 서빙팀 경기자들은 개인 또는 집단 스크린으로 상대팀이 서버나 볼의 진행방향을 보는 것을 방해해서는 안 된다.
2) 서비스를 하는 동안 서빙 팀의 한 선수 또는 여러 그룹이 팔을 흔들고, 점프하고, 또 옆으로 움직이거나 볼의 진행 방향을 숨기기 위해 그룹으로 서 있음으로써 '스크린'을 형성하게 된다.
6. 서비스 동안에 일어나는 반칙
1) 서빙반칙 - 아래의 반칙은 상대팀이 포지션 반칙을 했다 하더라도 서비스 권을 넘겨주게 된다. 서버가
① 서비스 순서를 위반한 경우
② 서비스를 적절하게 실행하지 못한 경우
2) 서비스 타구 후의 반칙 - 볼이 정확히 타구된 후 볼이 아래의 경우라면 반칙(선수가 포지션 반칙을 하지 않았다면)이 된다.
① 볼이 서빙 팀 경기자에 닿거나 허용 공간을 지나 네트 수직면을 완전히 통과하지 못한 경우
② 볼이 "아웃"된 경우
③ '스크린'위를 지나간 경우
7. 서비스 후의 반칙과 위치의 반칙
1) 서버가 서비스를 치는 순간 반칙을 범하고(부적절한 실행, 틀린 로테이션 순서 등) 상대팀이 포지션 반칙을 범했다면 제재가 주어지는 것은 서브 반칙이다.
2) 대신에 바르게 서브를 실행했으나 이어서 그 서브가 반칙이 되었다면(볼 '아웃', 스크린 통과 등), 포지션 반칙이 먼저 일어났으므로 제재가 주어지는 것은 포지션 반칙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