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장. 심판] 24. 부심(SECOND REFEREE)
1. 위치
부심은 주심과 마주한 반대쪽 지주 근처 경기 코트 밖에서 역할을 수행한다.
2. 권한
1) 부심은 주심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지만 자신의 결정권도 있다.
주심이 자신의 역할을 계속 진행할 수 없게 되면 부심은 주심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다.
2) 부심은 휘슬을 불지 않고 자신의 결정권외의 반칙을 표시할 수 있으나 주심에게 이것을 강요할 수는 없다.
3) 부심은 기록원의 역할을 통제한다.
4) 부심은 벤치에 있는 팀원을 관리하고 그들의 불법행위를 주심에게 알려 준다.
5) 부심은 웜-업 에이리어에 있는 선수들을 통제한다.
6) 부심은 경기 중단을 허가하고 그 시간을 통제하며 부당한 요구를 거부한다.
7) 부심은 각 팀이 사용한 타임-아웃 및 선수교대 횟수를 통제하고 2번째 타임-아웃과 5,6번째 선수교대에 대하여 주심과 감독에게 알려준다.
8) 선수가 부상을 당한 경우, 부심은 예외적인 선수 교대를 허용하거나 3분간의 회복시간을 부여한다.
9) 부심은 경기장 바닥상태(주로 프론트 존)을 점검하며, 경기 동안 볼 상태를 점검한다.
10) 부심은 벌칙 에이리어에 있는 팀원을 감독하고 그들의 불법행위에 대해 주심에게 보고한다.
3. 의무
1) 매 세트 시작, 최종 세트에서의 코트 교대, 그리고 필요할 때마다 부심은 코트에 있는 선수와 라인-업 용지에 있는 선수의 위치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2) 경기 동안 부심은 다음의 것에 대해 휘슬을 불고 시그널한다.
① 상대편 코트 침범 및 네트 아래 공간 침범.
② 리시브 팀의 포지션 반칙.
③ 코트의 부심 쪽 안테나와 네트 아래쪽에서 일어나는 선수의 접촉.
④ 후위 선수에 의한 블로킹 완료나 리베로에 의한 블로킹 시도.
⑤ 볼과 외부물체 접촉.
⑥ 주심이 볼 수 없는 바닥에의 볼 접촉.
⑦ 상대 코트로 허용 공간 바깥으로 볼이 완전히 혹은 부분적으로 통과하거나 코트의 부심쪽 안테나로 볼 접촉.
3) 경기 종료 후 부심은 기록지에 서명한다.